크리스틴 델피
가부장제의 정치경제학

 ❶ 주적

크리스틴 델피 지음

김다봄·이민경 옮김

 


크리스틴 델피
가부장제의 정치경제학
❶ 주적

크리스틴 델피 지음
김다봄·이민경 옮김


부르주아의 아내를
부르주아라고 부르는 것은
플랜테이션 농장주의 노예를
농장주라고 부르는 것

‘유물론 페미니즘’ 창시자 크리스틴 델피의 핵심 이론서.

1970년 프랑스 사회과학계를 달군 논고 〈주적〉 완역. 


우리는 계급으로서의 여성을 사유해야 하며,
가부장제 파괴를 끝까지 이뤄내고자 하는 혁명적 전투에 참여해야 한다.

종이책 7,000원

발행일 

2022년 11월 1일
쪽수
80쪽
판형
105 × 170 mm (무선제본)
ISBN
979-11-89623-17-3 (92300)



[크리스틴 델피-가부장제의 정치경제학] 시리즈


⓿ 서문
❶ 주적
❷ 가사노동 혹은 가정 내 노동  출간 예정
❸ 가족과 소비  출간 예정
❹ 유산 상속  출간 예정
❺ 결혼과 이혼  출간 예정
❻ 계층화 연구 속의 여성  출간 예정
❼ 우리의 아군들과 우리  출간 예정
❽ 프로토페미니즘과 안티페미니즘  출간 예정
❾ 자본주의, 가부장제, 여성 투쟁  출간 예정
❿ 유물론 페미니즘을 위하여  출간 예정

지은이


크리스틴 델피

Christine Delphy

페미니스트 사회학자. 프랑스 여성해방운동의 핵심 인물이자 20세기 페미니즘에 한 획을 그은 이론가다. 1970년 『파르티잔Partisans』에 발표한 글 『주적L'ennemi principal』을 통해 자본주의하의 계급으로서 여성의 주요한 적은 가부장제임을 지적했으며 1975년 『유물론 페미니즘을 위하여Pour un Féminisme matérialiste』를 발표하고 ‘유물론 페미니즘’이라는 분야를 만들어냈다. ‘여성해방운동Mouvement de libération des femmes’ ‘레드다이크gouines rogues’ 등의 단체를 창립하고 페미니즘 잡지인 『새로운 페미니즘의 문제들』을 창간했다.


옮긴이


이민경

페미니스트. 그 어떤 여성도 여성이라는 이유로 삶의 일부를 포기해야 하는 순간을 맞지 않기를 바라며, 그런 날을 앞당기기 위해 노력 중이다. 학부에서 불문학과 사회학을 배웠고 대학원에서 통번역을 공부했다. 『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 등 여러 권의 책을 썼으며 다양한 페미니즘 저작을 옮기고 펴냈다.

김다봄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어과와 동 대학 통번역대학원 한불과를 졸업했다. 알제리에서 2년간 일한 것을 시작으로, 현재는 프리랜서로 기술통번역과 출판번역을 넘나들며 일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미란다 복제하기』(출간 예정), 『컬티시』(공역, 출간 예정)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