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임주
지음
엮음
옮김
정가

종이책 ₩17,000

발행일
2025.03.07.
쪽수
256쪽
판형
120 × 190 mm (무선)
ISBN
979-11-89623-23-4 (03330)
짝꿍 오락
국어, 수학, 페미니즘!
학교에서 페미니즘을 필수 교과로 가르쳐보았다
미리보기
이임주
지음
엮음
옮김
정가

종이책 ₩17,000

발행일
2025.03.07.
쪽수
256쪽
판형
120 × 190 mm (무선)
ISBN
979-11-89623-23-4 (03330)
짝꿍 오락
이임주
지음
엮음
옮김
정가

종이책 ₩17,000

발행일
2025.03.07.
쪽수
256쪽
판형
120 × 190 mm (무선)
ISBN
979-11-89623-23-4 (03330)
짝꿍 오락
미리보기

지금 한국의 교육 현실을
우려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1. 초등학교 교실에서부터 여성혐오 범죄가 ‘놀이’인 사회
  2. “제 친구들은 여자 욕, 부모 욕을 1분마다 해요”[남중생A]
  3. “남자애들이 성희롱을 하는데 선생님이 같이 웃거나, 선생님이 더 심한 경우도 있고”[여중생A]
  4. “최대한 가르치려고 해도, 학교에서 성평등을 언급했다가 민원을 받는 상황”[교사A]
  5. 학생들을 내버려두어서는 안 된다
  6. 왜 반드시 학교에서 페미니즘을 가르쳐야 하는가?
  7. 모두가 페미니즘을 배울 때 학교는 어떻게 달라질까?


저자는 20년 차 교사다. 폭력과 차별이 10대들의 놀이가 된 현실에서 그는 '안전한 교육 환경'의 필요를 절감하고, 새로운 학교를 만들었다. 학교가 차별과 폭력을 용인하지 않는 굳건한 울타리로서 존재할 때,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

문화를 바꿔야 하는 만큼 페미니즘 투쟁은 오래 지속될 수밖에 없다. 나는 투쟁의 방식으로, 경청하고 대화하는 교육공동체를 선택했다. 학생들은 온라인에 혐오, 폭력, 갈등이 너무 많다고 호소한다. 그렇다면 어떤 곳에 평화가 있는지 살펴보아라. 나는 동백작은학교를 통해 청소년들에게, 억압받지 않는 평화를 보여주고 싶다. 이것이 학교 페미니즘 교육을 통해 내가 세상에 새기고 싶은 증명이다.
—본문 중에서

추천의 말
차례
들어가며
  1. 참을 수 없었던 페미니스트 교사  
  2. 동백작은학교는
  3. ‘작은’ 것의 가치
  4. 모두에게 안전한 학교 페미니즘
  5. 더 많이 나누고 더 많이 길어 올리기
1장 | 이상할 것 없는 페미니즘 교육 현장
  1. “페미니즘을 왜 배워?”
  2. 언제부터 세상은 남자 위주로 흘러갔어요?
  3. 저는 페미니즘을 싫어했어요
  4. 페미니즘이 필수 교과가 될 때
2장 |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
  1. 학교의 지향이 교사를 바꾼다
  2. 배움이 실천을—“같이 배우니까 다 같이 실천할 수 있어요”
  3. 실천이 변화를—“우리 이제 이런 얘기 하지 말자”
  4. 전면 채식 학교? 그게 가능한가요?  
  5. 관계망의 확장—동백 공정여행
  6. ✦특별수업✦ 난민 여성학교를 찾은 이유
3장 | 동백의 모험
  1. 우울의 시대에 청소년들은 “개짜증 나”  
  2. 아이가 달라졌어요
  3. 제도권 학교의 친구들과 교육자들
  4. 젠더 평등 선언식
  5. 동백 가족회의
  6. 남학생과 남교사
  7. ✦특별수업✦ 여성들만의 작은 사회를 지켜라
지은이
엮은이
이임주

페미니스트 교사, 동백작은학교 교장.

대학에서 화학교육을 전공하고 간디학교에서 20여 년간 교사 생활을 하며 청소년들에게 성평등을 가르치고 배우고 실천했다. 우울의 시대를 살아내고 있는 청소년들이 안전하게 배우며 충분하게 사유할 울타리로서, 페미니즘 교육을 전면에 내건 동백작은학교를 만들었다. NGO대학원 실천여성학과에서 공부하며 동백작은학교의 사례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학교 페미니즘 실천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페미니즘을 다른 교과처럼 중요하게 배울 때 어떤 일이 일어날까? 동백작은학교의 페미니즘 수업은 청소년들이 스스로 제 감각을 찾아가도록 돕는다. 학교가 페미니즘을 지향할 때 구성원의 실천, 공동체 문화, 학교 공간이 평등하고 평화롭게 변화한다는 것을 증명하며 살아가고 있다. 삶을 통한 증명에는 끊임없는 성찰이 필요한 만큼 끊임없는 기쁨 역시 있다. 때문에 페미니즘 교육운동의 길을 계속 걷는다.

옮긴이
차례
들어가며
  1. 참을 수 없었던 페미니스트 교사  
  2. 동백작은학교는
  3. ‘작은’ 것의 가치
  4. 모두에게 안전한 학교 페미니즘
  5. 더 많이 나누고 더 많이 길어 올리기
1장 | 이상할 것 없는 페미니즘 교육 현장
  1. “페미니즘을 왜 배워?”
  2. 언제부터 세상은 남자 위주로 흘러갔어요?
  3. 저는 페미니즘을 싫어했어요
  4. 페미니즘이 필수 교과가 될 때
2장 |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
  1. 학교의 지향이 교사를 바꾼다
  2. 배움이 실천을—“같이 배우니까 다 같이 실천할 수 있어요”
  3. 실천이 변화를—“우리 이제 이런 얘기 하지 말자”
  4. 전면 채식 학교? 그게 가능한가요?  
  5. 관계망의 확장—동백 공정여행
  6. ✦특별수업✦ 난민 여성학교를 찾은 이유
3장 | 동백의 모험
  1. 우울의 시대에 청소년들은 “개짜증 나”  
  2. 아이가 달라졌어요
  3. 제도권 학교의 친구들과 교육자들
  4. 젠더 평등 선언식
  5. 동백 가족회의
  6. 남학생과 남교사
  7. ✦특별수업✦ 여성들만의 작은 사회를 지켜라
4장 | 동백의 목소리
  1. 학생 이야기
  2. 교사 이야기
  3. 양육자 이야기
  4. 공동체의 성찰 너머
5장 | 공교육은 도대체 왜
  1. 제도권 성교육의 현주소  
  2. 성평등을 금지한다  
  3.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4. 교차적 위계 안의 청소년들
6장 | 학교에서 반드시 페미니즘을 가르쳐라
  1. 왜 학교 페미니즘인가
  2. 남성 청년들의 ‘억울함’
  3. 고어 자본주의 시대의 청소년들
  4. 자신만의 가장 밝은 빛을 손에 들고
  5. 여자아이들은 영원히 어리지 않다  
  6. 인권 교육으로서의 페미니즘
  7. ✦특별수업✦ 거리 위의 여성 청소년들
7장 | 청소년들이 만든 성평등 문화
  1. 변화하는 학교 공간
  2. 지속 가능한 페미니즘
  3. 질문하는 교실
8장 | 어느 곳에 평화가 있는지 보라
  1. 지금 학교가 할 수 있는 일
  2. 교육으로 증명한다

닫는 글

✦특별수업✦ 질문들

참고문헌

지은이
엮은이
이임주

페미니스트 교사, 동백작은학교 교장.

대학에서 화학교육을 전공하고 간디학교에서 20여 년간 교사 생활을 하며 청소년들에게 성평등을 가르치고 배우고 실천했다. 우울의 시대를 살아내고 있는 청소년들이 안전하게 배우며 충분하게 사유할 울타리로서, 페미니즘 교육을 전면에 내건 동백작은학교를 만들었다. NGO대학원 실천여성학과에서 공부하며 동백작은학교의 사례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학교 페미니즘 실천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페미니즘을 다른 교과처럼 중요하게 배울 때 어떤 일이 일어날까? 동백작은학교의 페미니즘 수업은 청소년들이 스스로 제 감각을 찾아가도록 돕는다. 학교가 페미니즘을 지향할 때 구성원의 실천, 공동체 문화, 학교 공간이 평등하고 평화롭게 변화한다는 것을 증명하며 살아가고 있다. 삶을 통한 증명에는 끊임없는 성찰이 필요한 만큼 끊임없는 기쁨 역시 있다. 때문에 페미니즘 교육운동의 길을 계속 걷는다.

옮긴이
지은이
엮은이 소개
이임주

페미니스트 교사, 동백작은학교 교장.

대학에서 화학교육을 전공하고 간디학교에서 20여 년간 교사 생활을 하며 청소년들에게 성평등을 가르치고 배우고 실천했다. 우울의 시대를 살아내고 있는 청소년들이 안전하게 배우며 충분하게 사유할 울타리로서, 페미니즘 교육을 전면에 내건 동백작은학교를 만들었다. NGO대학원 실천여성학과에서 공부하며 동백작은학교의 사례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학교 페미니즘 실천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페미니즘을 다른 교과처럼 중요하게 배울 때 어떤 일이 일어날까? 동백작은학교의 페미니즘 수업은 청소년들이 스스로 제 감각을 찾아가도록 돕는다. 학교가 페미니즘을 지향할 때 구성원의 실천, 공동체 문화, 학교 공간이 평등하고 평화롭게 변화한다는 것을 증명하며 살아가고 있다. 삶을 통한 증명에는 끊임없는 성찰이 필요한 만큼 끊임없는 기쁨 역시 있다. 때문에 페미니즘 교육운동의 길을 계속 걷는다.

지은이
엮은이 소개
이임주

페미니스트 교사, 동백작은학교 교장.

대학에서 화학교육을 전공하고 간디학교에서 20여 년간 교사 생활을 하며 청소년들에게 성평등을 가르치고 배우고 실천했다. 우울의 시대를 살아내고 있는 청소년들이 안전하게 배우며 충분하게 사유할 울타리로서, 페미니즘 교육을 전면에 내건 동백작은학교를 만들었다. NGO대학원 실천여성학과에서 공부하며 동백작은학교의 사례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학교 페미니즘 실천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페미니즘을 다른 교과처럼 중요하게 배울 때 어떤 일이 일어날까? 동백작은학교의 페미니즘 수업은 청소년들이 스스로 제 감각을 찾아가도록 돕는다. 학교가 페미니즘을 지향할 때 구성원의 실천, 공동체 문화, 학교 공간이 평등하고 평화롭게 변화한다는 것을 증명하며 살아가고 있다. 삶을 통한 증명에는 끊임없는 성찰이 필요한 만큼 끊임없는 기쁨 역시 있다. 때문에 페미니즘 교육운동의 길을 계속 걷는다.

옮긴이
첫 문장
궁금했다. 학교의 모든 구성원이 페미니즘을 국어, 수학처럼 당연한 교과목으로 배운다면 학교는 어떤 모습일까?
끝 문장
나는 동백작은학교를 통해 청소년들에게, 억압받지 않는 평화를 보여주고 싶다. 이것이 학교 페미니즘 교육을 통해 내가 세상에 새기고 싶은 증명이다.
카드뉴스
북트레일러
클릭해서
열어보세요
How to make a website: Page 05
How to make a website: Page 06
How to make a website: Page 07
How to make a website: Page 08
How to make a website: Page 09
How to make a website: Page 10
How to make a website: Page 11
How to make a website: Page 12
How to make a website: Page 17
How to make a website: Page 18
How to make a website: Page 19
How to make a website: Page 20
How to make a website: Page 21
How to make a website: Page 22
How to make a website: Page 23
How to make a website: Page 24
How to make a website: Page 25
How to make a website: Page 26
How to make a website: Page 27
How to make a website: Page 28
How to make a website: Page 29
How to make a website: Page 30
How to make a website: Page 91
How to make a website: Page 92